여기에서는 지적도 무료열람 방법을 살펴볼 것입니다. 부동산 매매나 계약을 할 때 보다 안전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지적도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수적으로 따라야 하는데요. 지적도는 토지의 용도 및 경계를 나타내는 문서로, 본인이 알고 있는 용도와 경계의 범위와 잘 들어 맞는지를 체크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 지적도 무료열람 방법도 어렵지 않으니 아래를 참고하시길 랍니다.
지적도란?
지적도는 국토교통부 관할의 공간 정보 데이터로, 토지 경계, 면적, 용도 등의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. 해당 지적도는 토지 관리 및 개발, 토지 권리 또는 의무를 파악하는 데 쓰입니다. 또한, 토지 가치 평가를 비롯하여 부동산 거래를 할 때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임야도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, 쉽게 말하면 토지의 쓰임새가 어떤지를 나타내는 지도입니다. 부동산의 기본인 땅은 토지와 임야 두 가지로 크게 구분되는데, 토지는 보통 임야를 포함한 모든 땅을 넓게 포괄하는 의미이며, 임야는 토지 중 산림과 들판을 이루는 숲, 산, 황무지, 간석지 등을 뜻합니다. 우리나라 모든 땅에는 지목이 정해져 있는데요. 이 지목에 따라서 땅의 용도가 결정되는 것이므로 절대 섣불리 말만 듣고 땅 계약을 해서는 안 됩니다.
지적도 무료열람 방법
지적도 무료열람을 위해서는 정부24가 정식으로 제공하는 온라인 지적도 서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. 해당 서비스는 특정 지역 지적도를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특징인데요.
-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: 먼저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
- 자주 찾는 서비스-지적도(임야도) 클릭 : 메인 화면 자주 찾는 서비스에 지적도(임야도)가 보이면 클릭하시고, 직접 검색창에 ‘지적도’를 검색해도 무방합니다.
- 발급하기 버튼 클릭 : 정부24에는 지적도 무료열람이 가능한데, 이는 기본적으로 발급 신청을 해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온라인에서는 무료로 발급할 수 있으며, 방문이나 전화 ,우편 등 기타 방법을 이용할 경우 열람은 400원, 등본은 700원의 수수료가 필요합니다. 발급은 회원 또는 비회원 로그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발급 대상 토지 주소 및 축척 선택 : 지적도 무료열람 및 발급하려는 토지의 주소를 입력한 후, 축척을 선택해야 하는데요. 500은 해당 필지를 확대해 크게 볼 수 있는 선택지이고, 2500은 필지가 축소되어서 주변까지 더 넓게 볼 수 있는 선택지입니다. 만약 이외 축척이 필요하면 온라인으로는 신청이 어렵고, 직접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해야 합니다. 수령 방법으로는 ‘온라인 발급’을 택하고 신청하기를 눌러 직접 프린트 또는 PDF로 저장하시면 됩니다.
지적도 무료열람 발급 유의사항
- 온라인 발급을 진행할 경우 지적도 무료열람이라는 장점이 존재하지만,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온라인 발급에서 정해진 축척 외에 다른 축척으로는 열람 및 발급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습니다. 따라서 다른 축척으로 발급하고자 한다면 아쉽지만 반드시 직접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셔야 합니다.
- 한 지번 도면이 여러 장이라면 이때도 직접 행정복지센터 방문이 필요합니다.
- 지적도 열람 등본 교부의 온라인 발급 여부는 해당 지자체의 사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니 문제가 있다면 바로 해당 지자체에 문의하시길 바랍니다.
내가 매매하려는 토지가 과연 내가 이용하려는 이용 계획에 걸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지적도 무료열람은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. 실제로 사려는 면적과 지적도상의 면적이 동일한지 여부도 이 문서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니 현명하게 활용해 보시면 좋겠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 FAQ
Q. 지적도 무료열람 정부24 외 방법은?
지적도 무료열람은 정부24 외에도 토지이음, 네이버 지도를 통해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토지이음의 경우 국토교통부가 운영하는 사이트이며,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메인 화면에서 바로 주소만 입력하면 토지 지적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다만 서류 제출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으니 투자 검토 시에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.
네이버 지도에서도 마찬가지로 주소 입력 후 상단 메뉴 ‘지적편집도’를 클릭하면 해당 지역 지적 정보를 호가인할 수 있습니다. 다만 상세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으니 상세 정보를 원하면 정부24 서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.